산에 흔히 있는 ‘이것’으로 비만 치료?…“식욕 억제 효능 있다” 깜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untriyng
조회 1회 작성일 25-07-06 11:42
조회 1회 작성일 25-07-06 11:42
본문
산에 흔히 있는 ‘이것’으로 비만 치료?…“식욕 억제 효능 있다” 깜짝

뉴스, 건강, 요리 등 생활 속 꿀 정보! - 링크N
뉴스, 건강, 요리 등 일상생활에 유용한 꿀 정보를 링크N에서 만나보세요. 다양한 분야의 최신 트렌드와 팁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생활 정보, 뉴스, 건강 정보, 요리 레시피, 최신 트렌드, 꿀팁, 링크N
https://linkn.org
전국 산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해외에서는 한국 단풍으로도 불리는 당단풍나무에 식욕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전해져 눈길을 끈다.
1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당단풍나무 추출물이 식욕을 돋우는 유전자 발현은 억제하고 식욕을 억제하는 유전자 발현은 촉진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당단풍나무는 무환자나뭇과에 딸린 낙엽교목으로, 해외에서는 한국 단풍으로도 불린다. 한반도 산지에 흔히 나며 중국 동북부 지방에도 분포해 있다.
다 자란 나무의 경우 높이는 8m이며 가지는 1년에 30~46㎝씩 자란다. 주로 관상용으로 심으며 목재용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700~900m 높이까지 서식할 수 있으며 자갈투성이 땅이거나 사질토양을 선호하고, 선선하고 습한 공기에서 잘 자란다. 약산성 토양도 선호하며 서리 피해에 강하다.
자원관은 재작년 시작한 ‘담수생물자원 추출물 유래 기능성 플라보노이드 탐색 연구’를 통해 당단풍나무 추출물에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쿼세틴(Quercetin)이란 성분이 많다는 것을 확인했다.
쿼세틴은 항산화 물질로, 염증을 완화하고 면역력을 강화하며 지방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원관 연구진이 시상하부 신경세포에 당단풍나무 가지와 잎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식욕을 촉진하는 신경펩타이드 NPY의 유전자가 대조군에 비해 각각 72.46%와 50.61% 덜 발현됐다.
다른 식욕 촉진 신경펩타이드인 AgPR의 유전자도 당단풍나무 가지와 잎 추출물에 의해 각각 66.34%와 50.44% 발현이 억제됐다.
식욕을 억제하는 데 관여하는 신경펩타이드 POMC의 유전자는 당단풍나무 가지와 잎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27.49%와 40.34% 더 발현됐다.
연구진은 당단풍나무 추출물에 든 식욕 억제 성분이 ‘이소퀘르시트린’과 ‘구아이아베린’이라는 점도 확인했다.
당단풍나무 추출물에 함유된 이소퀘르시트린과 구아이아베린은 현재 시장에 출시된 비만 치료제 주성분인 리라글루타이드와 식욕 촉진 유전자 발현 억제 수준이 비슷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를 지난달 특허로 출원했다.
“성매매 시장 규모 ‘7조’” 깜짝…‘업종 코드’까지 부여한다는 ‘이 나라’ 왜
“집에 ‘와서’ 술 급하게 마셨다” 주장…음주운전 ‘무죄’ 왜
친딸 성폭행 후 낳은 손녀까지…‘인면수심’ 70대에 ‘경악’
韓 ‘유럽 최애 여행지’인데…“오지 마라” 바위로 길 막은 주민들, 왜
10대 의붓딸 상습성폭행 60대 계부 적발…재혼가정 비극 결말
“야간 서핑객 있다” 알고보니 실종된 다이버…보드 잡고 7시간 버텨
‘멸종위기’ 레서판다가 룸 서비스를? 中 호텔 ‘동물학대’ 뭇매…결국 ‘철퇴’
[속보] 법원 “전농 트랙터 서울 진입 불허…트럭만 20대 허용”
“한국 먹방처럼…” 유명세에 먹고 또 먹다 비만死, 청년의 비극
“나 ×× 미국인이야!”…병원에서 ‘속옷’만 입고 벌인 충격적인 짓
m3
관련링크
- 이전글신종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치료제는 아연? - 러시아 직구 우라몰 ulag9.top 25.07.06
- 다음글그리스도, 장례, 일본커뮤니티 25.07.06